-
정보 과잉 시대, 내 취향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 '큐레이션'Study 2018. 11. 28. 18:57
다양한 채널을 통해 수많은 콘텐츠가 쏟아지는 시대입니다. 이처럼 다방면으로 정보가 물밀 듯이 밀려오면 소비자는 오히려 콘텐츠를 선별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만큼 내 취향에 맞는 양질의 정보에 대한 수요도 커지게 마련인데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등장한 서비스가 바로 ‘큐레이션’입니다.
큐레이션은 내 입맛에 맞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취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채워주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 전시회를 기획하고 작품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큐레이터’에서 파생한 신조어로, 다른 사람이 만들어 놓은 콘텐츠를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배포하는 일을 뜻합니다. 이는 정보 과잉으로 인해 일명 ‘선택 장애’를 가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큐레이션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핀터레스트가 있습니다. 핀터레스트는 이용자가 스크랩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포스팅하고 다른 이용자와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에 핀을 꽂는 것과 같이 파일을 모으고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인데요. 만약 내가 공원 이미지를 모으고자 한다면 공원의 주제를 갖는 보드를 생성하고, 다른 사람들이 올린 공원 이미지들을 “핀 잇(Pin it)”하여 꽂아두면 되는 것입니다.
또한, 단순하게 이미지를 수집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관심사를 설정해 두면 좋아할 만한 이미지를 추천해주기도 합니다. 개인의 취향에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큐레이션 서비스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핀터레스트는 내가 관심 있는 분야의 큐레이팅한 사람을 구독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해당 분야에서 신뢰가 가는 사람을 구독하는 경우로 이어지게 마련이므로 기업들은 핀터레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이 서비스의 이용자 중 다수가 핀터레스트를 통해 본인이 사고 싶은 아이템들의 이미지를 모으고, 이것이 구매로 연결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핀터레스트가 인스타그램보다 실질적으로 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마케팅 측면에서 매출로 이어지는 확률이 높다는 강점을 바탕으로 핀터레스트는 주요한 SNS 마케팅 채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만약에 내가 카페를 운영한다고 했을 때, 해당 카페의 홍보 게시글을 올린다면 그것은 그냥 수많은 홍보 글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요즘 떠오르는 핫한 카페 5곳’, ‘서울에서 꼭 가봐야 할 카페 5곳’과 같이 사람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만한 주제를 잡아 그 안에 내가 운영하는 카페를 포함한다면 사람들은 그 콘텐츠를 홍보라기보다는 전문가에 의해 선별된 좋은 정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이처럼 마케팅을 할 때 큐레이션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큐레이션 서비스는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매스미디어의 채널 영향력이 감소하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방대한 정보들 사이에서 소비자들은 의미 있는 콘텐츠를 찾아서 소비하기를 원하며, 그 과정에서 내 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원하는 양질의 콘텐츠를 찾아 제공하여 신뢰도와 만족도를 높이고 충성 고객을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요새는 모두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개인의 취향을 분석하여 맞춤 정보를 제공해주는 큐레이션 서비스. 바쁜 현대인들에게 유용한 서비스일뿐더러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로도 급부상하고 있는 만큼,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입 마케터들에게 꼭 필요한 마케팅 용어 사전! (0) 2019.01.31 GA(Google Analytics)란? (0) 2019.01.30 Google Ads: Google Ads를 활용한 비즈니스 성장 (0) 2018.11.22 "제가 알아서 할게요" 언택트 마케팅 (0) 2018.08.17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 검색엔진 최적화 (0) 2018.08.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