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서데이 : 졸업 선물Book 2018. 2. 21. 17:02
졸업선물은 공학박사이자 삼성디스플레이 책임연구원 출신인 저자가
갓 돌이 된 딸아이와 딸의 상사가 될 지금의 20대, 30대 젊은이들에게 선물하는
현실적인 사회생활 생존 팁을 담은 책입니다.
오늘은 성공이 아닌 성장을 위한 이야기 '졸업 선물' 도서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졸업 선물 도서에서 가장 크게 공감되는 부분들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인생 성공 10계명, 성장하는 독서 방법, 숫자 100의 의미, 육아를 통한 육아
그리고 마무리로 구성했습니다.
먼저 작가의 지극히 주관적인 인생 성공 10계명 입니다.
위 10계명 중 개인적으로 가장 공감되는 3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남들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을 꾸준히 오래 한다
2. 행복의 기준을 성장에 둔다
3. 세상을 다르게 해석하는 능력을 만든다
첫 번째의 경우, 남들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을 꾸준히 하게 되면
결국에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때문에 인생성공에 대해 공감 되었습니다.
두 번째의 경우, 무언가를 시도할 때 기준을 '성취와 달성' 대신 '개인의 성장'에 두게 되면
본인이 조금이라도 더 행복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감 되었습니다.
세 번째의 경우, 세상을 다르게 해석하는 능력입니다.
마케팅뿐만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면서 다른 시각으로 보는 것은 어려운 부분인데요.
인생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졸업 선물 책에서는 성장하는 독서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그냥 읽기, 요약하며 읽기, 시험을 보기 위해 읽기, 가르치키 위해 읽기 입니다.
그냥 읽는 경우, 소설과 같은 카테고리의 책처럼 순간의 즐거움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약하며 시험을 보기 위해 읽는다면 상당한 집중력을 발휘해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만들어주어
효율적인 독서방법으로 만들어 주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가르치기 위해 읽기 인데요. 3번 가르친 것은 절대 까먹지 않는다는 말이 있죠.
누군가에게 가르치기 위해 읽는 다는 것은 상당한 집중력, 암기력, 요약 등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숫자 100의 이야기입니다. 전문가가 되려면 10년의 시간이 걸린다고 하죠.
이 책에서도 한 권의 책을 쓰기 위해서는 100권의 책을 읽어야만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고 있는 숫자 100은 단순히 100권의 책이 아닌, 여행 100번, 100명의 사람 등
다수의 방법으로 100을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많은 노력을 하지만 큰 발전이 없는 이유는 머리로는 이해했지만 마음으로 소화하지 못하는 경우라고 하는데요.
온전히 본인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온 몸으로 깨우치고, 타인과 공유하고, 내 이야기인 것처럼 풀어 나갈때라고 합니다.
다음 육아를 통한 육아 입니다.
아이들은 왜 그렇게 빨리 배울 수 있는 걸까요?
바로 위와 같은 이유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8가지 이유 중 개인적으로 3번 필사적으로 한다는 점, 5번 시도 때도 없이 한다는 점,
7번 대단히 긍정적이라는 점에 많은 공감이 갔습니다.
저자는 필인이 되라고 추천 하고 있습니다.
앞 '필'자를 다르게 읽어 재치있게 풀어 놓은 문구인데요.
첫 번째는 필요한 '必'을 사용해 누군가에게 필요한 사람, 반드시 해내는 사람을 뜻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느끼다 'feel'을 사용해 타인의 감정을 느끼는 사람을 뜻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채우다 'fill'을 사용해 타인을 채워주는 사람을 뜻하고 있습니다.
아이언맨으로 유명한 배우인 로버트 다우니가 말한 명언입니다.
'영화의 핵심은 2시간 내내가 아닌 4-5분 간의 사건들이다.
시나리오란 그 순간들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올바른 인생의 계획 및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다면
하루하루 평범해보이는 현재도 나중에 올 최고의 순간을 위해 꼭 필요한 부분임을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데이 : 불행 피하기 기술 (0) 2018.04.03 독서데이 : 신경끄기의 기술 (0) 2018.02.22 독서데이 : 메모의 재발견 (0) 2018.01.24 독서데이 : 결국, 컨셉 (0) 2018.01.22 독서데이 : 회사언어번역기 (0) 2018.01.22 댓글